MVC 패턴 - 개요
변경의 라이프 사이클
사실 이게 정말 중요한데, 진짜 문제는 둘 사이에 변경의 라이프 사이클이 다르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서 UI 를 일부 수정하는 일과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하는 일은 각각 다르게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대부분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변경의 라이프 사이클이 다른 부분을 하나의 코드로 관리하는 것은 유지보수하기 좋지 않다. (물론 UI가 많이 변하면 함께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기능 특화
특히 JSP 같은 뷰 템플릿은 화면을 렌더링 하는데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업무만 담당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Model View Controller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며, 각 레이어간 기능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둔 디자인 패턴이다.
MVC패턴은 지금까지 학습한 것 처럼 하나의 서블릿이나. JSP로 처리하던 것을 컨트롤러(Controller)와 뷰(View)라는 영역으로 서로 역학을 나눈 것을 말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이 MVC 패턴을 사용한다.
모델 : 뷰에 출력할 데이터를 담아둔다. 뷰가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모델에 담아서 전달해주는 덕분에 뷰는 비즈니스 로직이나 데이터 접근에 몰라도 되고, 화면을 렌더링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다.(DAO, DTO, Service 등)
뷰 : 모델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면을 그리는 일에 집중한다. 여기서는 HTML을 생성하는 부분을 말한다.(html, jsp, tymeleaf, mustache 등 화면을 구성하기도 하고, Rest API로 서버가 구현된다면 json 응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컨트롤러 : HTTP 요청을 받아서 파라미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한다. 그리고 뷰에 전달할 결과 데이터를 조회해서 모델에 담는다.
참고
컨트롤러에 비즈니스 로직을 둘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컨트롤러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은 서비스(Service)라는 계층을 별도로 만들어서 처리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서비스를 호출하는 담당을 한다. 참고로 비즈니스 로직을 변경하면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하는 컨트롤러의 코드도 변경될 수 있다. 앞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비즈니스 로직을 호출한다는 표현 보다는, 비즈니스 로직이라 설명했다.
MVC 패턴1
비즈니스 로직 영역(Controller)에 프레젠테이션 영역(View)을 같이 구현하는 방식이다.
MVC 패턴2
비즈니스 로직 영역과 프레젠테이션 영역이 분리되어 있는 구현 방식이다.
출처: 인프런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Programming > Spring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MVC - 구조 이해 (0) | 2022.12.23 |
---|---|
MVC 프레임워크 만들기 (0) | 2022.12.20 |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 HTML, HTTP API, CSR, SSR (0) | 2022.12.17 |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 동시 요청/멀티 쓰레드 (0) | 2022.12.17 |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 서블릿 (0) | 2022.12.17 |